본문 바로가기

CAE 해석

유동해석:: 작물재배사 내부 기류분석을 위한 CFD

 

 

안녕하세요, 엔글링크입니다.

엔글링크는 제품의 구조적 안전성과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CAE 해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업체입니다.

유동해석(CFD)을 비롯한 다양한 CAE 해석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엔글링크가 제공하는 여러 서비스 중에서 유동해석(CFD) 프로젝트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유동해석(CFD)은 Computational Fluid Dynamic를 우리말로 표현한 것으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유체역학현상을 분석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의미합니다.

컴퓨터의 성능 개선과 IT기술의 발전으로 복잡하고 어려운 공학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동해석(CFD)과 같은 CAE 해석 기술이 활용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최근에는 스마트 팜,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고령화되고, 산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줄어들면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적은 노동력으로도 생산량을 확보할 수 있는

스마트 팜에 대한 정부의 지원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엔글링크에서 진행한 유동해석(CFD) 프로젝트도 스마트 팜과 관련이 있습니다.

유동해석(CFD)을 이용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작물재배사 내부의 유체 유동을 분석하여

작물재배사의 공조시스템의 환기효과를 분석했습니다.

 

 

 

 

 

환기를 통한 균일한 온도 분포가 작물재배사의 생산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공조시스템의 환기 효과를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작물재배사에서 유체의 유입과 출입은 덕트와 흡기팬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외부의 공기가 벽면의 설치된 덕트를 통해 작물재배사 내부로 유입되며,

천장에 달린 흡기팬을 통해 작물재배사 내부의 공기가 외부를 빠져나가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작물재배사 공조시스템의 환기효과 분석을 위해서 작물재배사를 모델링하고

유한요소모델을 작성했습니다. 작물재배사의 유한요소모델은 총 2,660,665개의

셀로 구성되었으며 정렬 육면체 격자를 사용했습니다.

작동유체는 공기이며, 입구조건은 벽면 덕트에, 출구 조건을 천장의 흡기팬에 압력조건을 

적용했습니다. 

 

 

 

유한요소모델에 경계조건을 적용하여 작물재배사 내부의 공기 유동이 어떻게 분포되는지

확인했습니다. 해석 결과는 측정위치에 따른 유속 분포로 나타냈습니다. 

시간에 따른 유체의 속도변화를 동영상으로 추출하여 유동궤적을 고객사에서

확인하실 수 있게 했습니다. 작물재배사 벽면의 덕트를 통해 내부에 공기가 토출되고

토출된 공기가 천장의 흡기팬으로 다시 흡입되고 있으며 천장에서 좌우로 유체가 이동하는 것도

확인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작물재배사 내부 환기가 고르게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엔글링크는 제품의 구조적 안전성과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CAE 해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하시는 서비스가 있으시면 망설이지 마시고 언제든지 엔글링크로 문의하세요.

문의하신 내용에 가능한 한 빠르게 답변드릴 것을 약속합니다.

 

 

 

온라인 견적문의를 원하시면 위 버튼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