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해석(structural analysis)
설계단계에 있는 구조물이 실제 제작되었을 때, 설계자가 예상했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가장 불리한 상황에서도 안전한가를 검증하는 일.
구조해석의 사전적 정의입니다. 산업에서는 물리적인 어떤 제품을 개발했을 때 이에 대한 외부의 힘에 의해서 어떤 변화가 제품에 일어나는지를
알아내는 기술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의자를 만들때 몇 키로의 하중까지 의자 다리가 견딜 수 있는지를 직접 사람이 앉아보지 않아도 소프트웨어로 계산을 해낼 수가 있다는 거죠
그러면 만약 의자가 약하게 설계되어 있을 때 굳이 무거운 사람이 앉아 의자를 부수고 새로 의자를 설계해서, 다시 실험할 필요가 없습니다.
구조해석의 데이터만으로 설계를 고치고 원하는 무게를 버틸 수 있는 의자를 한번에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입니다.
물론 구조해석이 완벽한 기술은 아닙니다. 어디까지나 참고용일 뿐이죠 하지만 점차 상용툴들의 기능이 개선되면서 실제 물리현상의 90%이상까지
구현할 수 있는 정확성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현실에서 일어나는 모든 변수를 소프트웨어에 넣을 수 없기 때문에 이 구조해석 보고서가 결과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어디까지나
좋은 레퍼런스라는 점을 인식하셔야합니다
구조해석의 분야는 아래와 같습니다
정적해석
다물체 동역학
회전체 동역학
열해석
음향해석
진동해석
좌굴해석
과도해석
조화해석
이보다도 많은 해석이 존재하나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해석은 정적해석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산업별로 어떤 한 가지의 구조해석 분야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제품 특성에 맞게 다양한 해석 방법을 적용하여 해석하게됩니다.
구조해석은 비교적 유동해석에 비해 정확도가 높아 제품개발에 있어 필수라고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발 초기 단계부터 접목하시는게 좋습니다.
↑
온라인 견적 문의 시, 위의 버튼을 클릭하여 주세요
'CAE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조해석과 유동해석의 결합 다물리해석 (0) | 2017.07.26 |
---|---|
제품개발, 내부화와 외부화의 선택, 구조해석 유동해석은 역시 엔글링크 (0) | 2017.07.26 |
열해석이란? (0) | 2017.07.25 |
CAE 해석 보고서가 필요할 때 (0) | 2017.07.24 |
구조해석, 유동해석 엔지니어와 설계자 (0) | 2017.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