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FD의 유체역학 지배방정식
안녕하세요 엔글링크입니다.
CFD는 유체역학 지배방정식을 통해 근사해를 구하는 실제 현상을 유추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체의 거동을 수학적으로 계산해 내는 방정식은 바로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인데요 이 방정식은 수학적으로 완벽히 해결되지 않은 방정식이기 때문에
완벽한 해를 구할 순 없습니다. 다만 근사해를 구할 수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가설과 가정을 입력하여 최대한 근접한 값을 구해내는 것이
전산유체역학, CFD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죠.
<이런 복잡한 유체의 흐름도 계산할 수 있을까요 ?>
이런 저런 이유로 인해 CFD는 CAE에서도 구조해석보다 상대적으로 정확한 값을 알순없습니다만 여러가지 기법들을 통해 근사값을 줄여나갈 수 있습니다.
100%완벽한 해를 구할 순 없지만 근접한 해를 구할 순 있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활용하는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결과가 완전히 다를때는 전혀 다른 가정으로 첫단추가 잘 못 끼워졌을 경우가 있기 때문에 CFD 기술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엔지니어 개인의
역량이 문제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유체역학은 매우 변수가 많고 상황적인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적절하게 CFD를 응용해야 좋은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견적문의를 원하실 경우 위의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 CFD의 유체역학 지배방정식
'CAE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산유체역학 해석이 필요할 때 (0) | 2017.08.22 |
---|---|
응력해석이 필요하다면 엔글링크와 함께 하세요. (0) | 2017.08.22 |
최적설계를 통해 개발비용이 절감되는 효과 (0) | 2017.08.18 |
제품 개발을 위한 첫걸음, 모델링과 CAE해석 엔글링크와 함께하세요. (0) | 2017.08.18 |
설계자들은 왜 CAE를 도입하기 힘들까요? (0) | 2017.08.17 |